종합 > 생활문화

‘책가도’부터 ‘제주문자도’까지, 민화의 또 다른 얼굴

아모레퍼시픽미술관(관장 전승창)은 27일, 창립 80주년을 기념해 고미술 기획전 '조선민화전'을 개막한다. 이번 전시에는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이 새로 수집한 작품들과 그동안 실물 감상이 어려웠던 작품들이 함께 전시된다. 전시는 20개 기관과 개인 소장 작품 100여 점이 포함되며, 이 중 주목할 만한 작품들은 이택균의 '책가도 10폭'과 '금강산도 8폭 병풍'이다. 

 

이택균(1808-1883)은 조선시대 궁중 화원이자 책가도 전문 화가로 유명하다. 이번 전시에서 처음 공개되는 그의 '책가도 10폭'은 상단에 '이택균인' 도장이 찍혀 있어 1871년 이후, 즉 그가 64세에 제작한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이 작품은 병풍 형태로 장황되지 않고, 각 폭이 분리된 10개의 패널 형식으로 제작되었으며, 미카 에르테군이라는 세계적인 디자이너의 컬렉션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 작품은 뉴욕 타운하우스에 걸려 있었으며, 현재도 패널 형태로 보존되고 있어 조선 그림이 해외에서 어떻게 평가되고 사용되었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이번 전시에서는 또 다른 유명 작품인 '제주문자도 8폭 병풍'도 소개된다. 이 병풍은 국립해양박물관 소장품으로, 퇴계 이황이 학봉 김성일에게 써준 '제김사순병명'이 포함되어 있다. 병풍은 3단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문자가, 상단과 하단에는 제주도의 자연을 형상화한 물고기, 새, 나무, 꽃, 누각 등이 묘사되어 있다. 이 작품은 제주 문자의 독특한 특징을 드러내며, 푸른색 안료로 칠해진 문자와 제주의 바다를 연상시키는 색채가 돋보인다.

 

 

 

민화는 조선시대 서민들의 행복, 출세, 장수 등의 기원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그림이다. 이 전시는 민화의 한국적인 감성과 미감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해석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정병모 미술사가는 민화에 대해 "한국적인 미감과 세계관을 담아낸 자의식 강한 그림"이라고 평가하며, 궁중회화나 사대부회화가 외국의 화풍을 받아들인 것과 달리, 민화는 한국적 아름다움을 고수해온 중요한 유산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민화뿐만 아니라 궁중회화풍의 그림들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작품들은 주제로 구분되어 전시되어 관람객들이 각각의 표현 기법과 미감을 심층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자기, 금속, 목기, 섬유 등 다양한 공예품들도 함께 전시되어 민화가 동시대 공예품 장식에 미친 영향과 시대적 흐름을 엿볼 수 있다.

 

환경 친화적인 전시 기획도 주목받고 있다.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은 전시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과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2023년 '조선, 병풍의 나라 2' 전시에서 사용했던 철제 프레임과 유리를 50% 이상 재사용하며, 폐기물 감축과 자원 선순환을 실천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시 기간은 6월 29일까지이며, 다양한 작품들과 더불어 환경을 고려한 전시 방식도 관람객에게 큰 의미를 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전시는 조선 민화의 독특한 미감과 그 시대의 예술적 가치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한국 전통 미술에 대한 관심을 더욱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