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 건강

'소음과의 단절'… 편리함 뒤에 숨은 노이즈 캔슬링의 그림자

 시끄러운 카페에서도, 지하철 안에서도 오롯이 나만의 사운드를 즐길 수 있게 해주는 '노이즈 캔슬링' 기능. 최신 이어폰 및 헤드폰의  필수 기능으로 자리 잡으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이러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오히려 청력 이상은 물론 뇌 손상까지 유발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경고가 잇따르고 있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7일(현지 시각) 영국 BBC는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청각 이상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주변 소음을 차단하고 원하는 소리만 듣도록 설계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오히려 뇌의 자연스러운 소리 처리 과정을  방해하면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런던에 거주하는 25세 여성 소피는 몇 년 전부터 특정 소리가 나는 방향을 가늠하기 어렵거나 여러 사람의 대화 속에서 특정 목소리를  골라 듣는 데 어려움을 느꼈다. 일상생활에서 대부분의 소리가 마치 소음처럼 느껴져 큰 불편을 겪었다는 소피는 정밀 검사 결과 청력 자체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진단을 받았다. 문제는 귀가 아닌 뇌에 있었다.  소피는 귀에서 소리를 정상적으로 감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뇌가 이를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는 '청각정보처리장애' 진단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소피와 같은 청각정보처리장애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지목하고 있다. 영국 청각학회 부회장인  클레어 벤튼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노이즈 캔슬링은 듣고 싶은 소리만 선택적으로 듣게 함으로써 뇌가 소음을 자연스럽게 걸러내고 처리하는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뇌의 청각 정보 처리 능력이 완전히 발달하기 전인 10대 후반까지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말소리와 소음을 구분하고 처리하는 능력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임페리얼 칼리지 헬스케어 NHS 트러스트의 청각학 임상 책임자인 르네 알메이다 역시 "단순히 소리를 듣는 것과 소리를 이해하고 의미를 파악하는 '청취'는 분명히 다르다"면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우리 뇌의 능동적인 청취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탑재한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사용할 때 사용 시간을  최대한 줄이고, 주변 환경을 인지할 수 있는 '주변음 허용 모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권장했다. 또한 귀를 완전히 막지 않아 외부 소리 유입을 어느 정도 허용하는  개방형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선택하는 것도 청각 기능 보호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