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 경제산업
30대 초반 청년층, 주거 양극화 심화.."전세 줄고 월세·자가 증가"

27일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이 발표한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에 따르면, 30대 초반(31~35세)의 전세 거주 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반대로 월세와 자가 거주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1985~1989년생이 30대 초반이었을 당시 월세 거주 비율은 21.3%로, 1970~1974년생(17.3%)보다 4%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연령대의 자가 거주 비율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전세 거주 비율은 시간이 지날수록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흐름을 보이며, 점차 설 자리를 잃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변화가 청년층의 주거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보고서는 “가족 형성이 가장 활발한 30대 초반 시기에 주거 형태의 양극화가 두드러지고 있다”며 “경제적 여력이 있는 청년은 전세에서 자가로 이동하는 반면, 그렇지 못한 청년은 월세로 밀려나는 경향이 뚜렷하다”고 분석했다.
전세 시장이 위축된 배경에는 대출 규제 강화와 금리 인상이 있다. 과거에는 신혼부부나 사회초년생이 전세를 통해 주거비 부담을 줄이며 자산을 형성할 수 있었지만, 최근 전세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금리가 오르면서 전세에서 월세로 내몰리는 청년층이 늘어나고 있다. 직장인 김모(34) 씨는 “맞벌이를 해도 서울에서 전세를 얻는 것은 꿈도 꾸기 어렵다”며 “부모님 도움 없이 집을 사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반면,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받은 일부 청년들은 빠르게 자가를 마련하며 격차를 더욱 벌리고 있다. 20대 후반에 강남권 아파트를 매입한 한 청년은 “부모님이 일찍 증여해 주셔서 전세 없이 바로 내 집을 마련할 수 있었다”며 “대출 부담도 크지 않다”고 말했다. 이처럼 부모의 지원 여부가 주거 형태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주거 양극화의 심화는 결혼·출산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주거 불안정은 결혼과 출산을 미루게 하는 주요 요인”이라며 “청년층이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확보하지 못하면 저출산 문제도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실제로 보고서에서도 “주택을 소유한 청년층은 결혼과 출산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반면, 월세 거주 청년층은 결혼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비율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는 청년층의 경제적 격차가 단순한 주거 문제를 넘어 사회 전반의 구조적 문제로 확산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편, 자가 거주 비율의 증가가 긍정적인 변화로 해석될 수 있지만, 보고서는 이에 대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자가 거주 비율 증가는 부동산 가격 상승기와 정부 정책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일부 청년들은 주거비 부담을 덜기 위해 무리하게 대출을 받아 집을 마련하는 경우도 있어, 이들을 위한 추가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재 청년층의 주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세 대출 규제 완화 ▲공공임대주택 확대 ▲청년층 대상 주택 공급 확대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최근 정부는 청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공공전세주택과 청년 맞춤형 대출 상품을 확대하고 있지만, 여전히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다. 부동산 전문가 이정현 박사는 “청년층이 부담 없이 거주할 수 있는 주거 환경을 조성하려면 보다 근본적인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며 “전세 공급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월세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지원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운 좋은 세대’와 ‘운 나쁜 세대’ 사이에서, 30대 청년들은 점점 내 집 마련의 꿈과 멀어지고 있다. 앞으로 정부가 청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을 내놓지 않는다면, 주거 양극화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